[대상 수상작]
칼의 방식
1
흙에서 나온 울음이 날을 세운다
오랫동안 숨죽였던 갈구
단층을 벗겨낸 쇳덩이는
부엌에서 거실을 지나 현관으로 나선다
자르고 베고 나누는 것에서
하늘로 오르거나 바다를 가르거나
그의 초식은 진화하기 시작한다
찌르고 베는 변이로부터
칼의 원초적 사명을 지켜내기 위해
오른손이 거친 외침을 내려친다
오만이 무릎 꿇는 순간
두들겨 맞은 단면에서 소리가 피어난다
2
칼에 쓰러진 나무로부터 풀잎까지
종이가 되지 못한 이름을 기억하리라
허공에 적어 내려간 녹슨 글자들이
지면을 관통하여 가슴으로 굴러가는
칼의 꼬리가 꿈틀거린다
같은 음을 내거나 화음으로 섞일 때
활자에 무릎 꿇는 칼의 방식은
덤과 같아 보인다
등을 보이고 누웠어도 예리한 각도
전파를 타고 날아온 구호는
살처럼 생생하다
칼은 언제나 서 있는 것은 아니다
3
피 또는 투쟁에서 벗어나고자
숫돌에 마름질한 귀 기울여
수 천 도 불꽃에 지는 법을 배우라 했다
선 이쪽과 저쪽에서 대립하는 시선들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낸다
휘어지지 않으려는 수식
검기를 갈피에 감추고 저울을 불러낸다
양날을 두들겨 숙성된 바늘을 뽑는 일
저울추가 제대로 좌표를 읽는다면
칼집에 꽂혀있는 칼은
열리지 않아도 해의 눈처럼 빛날 것이다
차가운 서술에도 불구하고
쇠 울음은 가끔 가슴을 뜨겁게 한다
이륙을 허가하다
내 활주로는 늘 짧아서
꿈이 이륙하지 못하고 자주 떨어졌다
자소서로 출발한 걸음은
출입문에서 넘어지기 일쑤였다
나의 섬은 점점 쪼그라들어
길은 눈앞에서 자주 멈추었으며
가시 울타리를 넘어간다 해도
바다 직전에 날개를 접어야 했다
해의 눈빛을 놓치고
바람의 손과 미끄러지고
돌아서는 길은 절벽처럼 고요했다
태어난 곳이 섬이었으니 언제까지나 섬 소년이었고
뚝뚝, 흙수저는 걸음도 느렸다
비 내리는 날에는 먼저 울었으며
구르다 떠난 바퀴 자국 끝
닳아빠진 운동화 한쪽만 덩그러니
멍투성이 하늘이 통곡처럼 나부꼈다
얼마나 추락을 암기하고
승모근에 지식을 쌓아야 이륙할 수 있을까
구멍 난 심장으로 볕을 나르고
걷어낸 상처에 바람을 발라
수백 번 지우고 쓴 시뮬레이션 복기가
비상활주로 문을 열었다
또 다른 바람이 폭풍우를 가져간 후
오늘 나의 이름이 불리었다
나의 일몰
오후 여섯 시가 유리창에 사선으로 걸린다 정면으로 응시했던 눈동자가 교신을 통해 바람개비를 접는 순간이다 귀로에 연착륙한 사람들은 여의주를 내어주고 고치로 들어간다 양력이 부족한 나는 네온이 범람하는 강 동쪽으로 바람을 쫓는다 어둠에 기댄 동체가 모자란 하루를 채우려는 것이다 마주치는 시선마다 뿔뿔이 흩어지고 분주한 걸음에도 호출에 닿지 못한 손가락은 전쟁 같은 공습에 하나둘씩 꺾인다 취한 유리 조각에 베어진 날개에서 바람이 새고 욕이 눌어붙은 가슴으로 구멍이 지나간다 시간을 속여 몇 장의 지폐와 바꾸려는 아우성에도 날개는 졸음에 겹다 발기되는 아침은 숙면의 또 다른 이름, 나의 숙면은 호출이 쉬고 있는 동안만 허락될 것이다 호출부호가 멈춰 설 때면 아랫목이 그리워져 귀로에 올라선다 먼동으로부터 삶을 복기하는 곳, 들숨을 벗고 옥탑방 거울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외등이 날숨을 토해놓으면 도시의 일출과 함께 수많은 바람개비가 돌아간다 나의 일몰이 시작된다
심사평 / 이 건 청 (한양대 명예 교수. 한국시인협회 37대 회장)
깊은 투시력과 밝고 환한 말들
[시인뉴스 포엠] 시인상 응모작들을 읽으며 시와 독자와의 관계가 과거와 다르게 설정되어가고 있지않나 생각하였다. 이제까지 시와 시의 독자들이 만나는 자리는 종이 잡지 지면이 대표적인 것이었다. 잡지 게재 작품은 종이 책에 인쇄되어 있는 것이어서, 깊게 사유하며 접할 수 있고 고차원의 비유도 시간을 두고 접해볼 수 있다. 오히려 그런 천천히 읽기가 때로는 미덕일 수도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스쳐가거나 명멸하는 화면에 담긴 시 작품은 순간적 직관을 통해 받아들여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제까지 종이 잡지는 문학작품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는 가장 보편적, 상식적인 문학 담론의 생산 광장이었다. 그러나, 앞으로 우리가 맞게 될 문학작품의 소비 패턴도 바뀌어 갈 것이다. 최근들어 그동안 오래 간행되어오던 시 전문 잡지들의 폐간 소식들이 이어지고 있다. 인터넷 웹진 시 잡지들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현상이 시 자체의 변모로 이어질지 살펴볼 일이다.
현대사회를 Phono Sapiens 시대라 부르기도 한다고 한다. 스마트 폰이 단순한 통신수단을 넘어 인간의 생존 방식과 사유방식까지를 규제하고 있음을 반영한 말일 것이다. 인터넷 망이 개인 테이블을 연결하고, 스마트 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문학 작품 소통방식도 혁명적으로 바뀌어 갈 것이다. 스마트 폰 데이터는 매월, 매일 국내외에서 발표되는 문학 작품의 텍스트들을 축적한다. 독자가 원하기만 하면 검색엔진을 통해 테이터의 바다에 떠 있는 작품들을 쉽게 불러낼 수 있다. 국내외에서 축적된 시작품 전집이 포케트 속에 들어 있는 것과도 같다. 스마트 폰을 가진 사람의 80% 정도가 잠자리에서 깨어나 15분 이내에 스마트 폰을 열어 메시지나 뉴스를 확인한다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동일 시간대의 메시지나 뉴스를 동시적으로 접하고 있고는 셈이다. Phono Sapiens 시대의 시는 어떤 변별성과 창의성으로 존재해야 하는 것일까. 문학 미디어로서의 인터넷 언어의 가능성은 어디까지일까. [시인뉴스 포엠] 시인상 응모작들을 읽으며 시의 앞날을 숙고하게 되었다.
웹진 시 전문지 [시인뉴스 포엠]의 응모작들을 읽으면서 작품의 상당수가 국내 정치 사회의 시사문제를 다루고 있었으며, 재기 발랄한 문법들도 구사하고 있음을 보게 되었다. 종이 책에 발표되는 작품들이 사회적 규범이나 규제라는 묵언의 검열을 거치고 있다면, 그런 묵언의 규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전파미디어에 의탁한 작품들이 다수 써지고 있음을 미루어 알 수 있겠다. 인터넷 웹진에 실리는 작품들이 지닐 수 있는 특성이 아닌가 생각한다.
심사 대상 작품으로 보내져 온 자료는 120 여 시인, 작품 수로 840 여 편이었다. 많은 응모작들이었고, 노고가 깃든 작품들이었다. 심사자는 응모작들을 공들여 읽었다. 심사자가 마지막 결선에서 수상작을 선정하기 위해 고뇌했던 작품들은 다음의 것들이었다. 「밥 짓는 시간」 외 6편, 「국수」 외 6편, 「핑크뮬리」 외 6편, 「칼의 방식」 외 6편,
「밥 짓는 시간」의 시인은 밥 짓는 방식과 과정을 깊고 세세한 이미지들로 치환해 ‘엄마’의 궁극을 밝히는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었다. 「국수」 의 시인에게서 ‘국수 삶기’는 사람의 삶을 성찰하는 깊은 예지에 다름이 아니다. 국수 삶기는 자기 발견이며,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인간 발견이기도 할 것이다. 「핑크뮬리」의 시인은 들판에 피는 여러 해 살이 분홍빛 억새 ‘핑크뮬리’를 통해 독자적 자발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해 보여주었다. 삶의 독자성과, 원초적 야만성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발랄하다. 상상의 진폭이 크고 넓다. 「칼의 방식」 의 시인은 말의 운용이 돋보인다. 시적 상징으로서의 ‘칼’의 내포가 엄청난 진폭으로 확산되고 있다. ‘칼의 방식’이 삶의 문제이며 현대사회가 지향해 나아가야할 구원의 방식임을 제시해 보여주고 있다.
「칼의 방식」 외 6편의 시인의 작품을 당선작으로 선정하기로 한다. 4분 모든 시인들은 상당한 시적 수련을 거친 분들이었고 작품의 형상화 능력도 돋보이는 분들이었다. 그럼에도 심사자가 「칼의 방식」 의 시인을 당선작으로 선정하게 된 이유는 이분의 시가 지니는 총체적 안목의 깊이와 그런 시인의식을 자신의 언어로 치환해 낼 수 있는 언어 능력이 돋보였기 때문이었다.
피 또는 투쟁에서 벗어나고자
숫돌에 마름질한 귀 기울여
수 천 도 불꽃에 지는 법을 배우라 했다
선 이쪽과 저쪽에서 대립하는 시선들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낸다
휘어지지 않으려는 수식
검기를 갈피에 감추고 저울을 불러낸다
양날을 두들겨 숙성된 바늘을 뽑는 일
저울추가 제대로 좌표를 읽는다면
칼집에 꽂혀 있는 칼은
열리지 않아도 해의 눈처럼 빛날 것이다
차가운 서술에도 불구하고
쇠 울음은 가끔 가슴을 뜨겁게 한다
-「칼의 방식」 중에서
칼이 피나 투쟁의 방식에 섰을 때, 칼은 무기가 된다. 그러나, 칼이 숫돌을 만나 벼려지거나 수 천 도의 불에 몸을 맞겨 양 날을 두들기면 조그맣고 섬세한 바늘을 뽑아낼 수도 있다. 칼의 ‘이쪽’과 칼의 ‘저쪽’이 대립의 자리에 예리하게 맞설 때 쇠는 칼이 되어 피를 부르고 투쟁의 도구가 되어 파멸의 결과에 귀착된다. 그러나, 불 속에서 몸을 구부려 휘어지면 칼이 되었을 때의 ‘검기’를 감추고 칼집에 꽂히면 바늘이 되어 품위 있는 의상을 지어내는 놀라운 기적을 이뤄낼 수도 있게 된다. 이 시의 작자가 제시하는 ‘칼의 방식’은 궁극적으로 인류애를, 화해로운 융합의 미래를 강조하고자 하는데 키포인트가 놓인다. ‘칼’은 칼집에 꽂혀 있어야 하는 것이고, 벼리고 다듬어 생활 도구로 쓰임새를 찾아야 하는 것임을 적확하게 보여주었다.
내 활주로는 늘 짧아서
꿈이 이륙하지 못하고 자주 떨어졌다
자소서로 출발한 걸음은
출입문에서 넘어지기 일쑤였다
나의 섬은 점점 쪼그라들어
길은 눈앞에서 자주 멈추었으며
가시 울타리를 넘어간다 해도
바다 직전에 날개를 접어야 했다
-------
구르다 떠난 바퀴자국 끝
닳아빠진 운동화 한쪽만 덩그러니
멍투성이 하늘이 통곡처럼 나부꼈다
-「이륙을 허가하다」 중에서
좌절이 깊은 날들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사회 현역으로 가치 있고 뜻 깊은 자리에 당당히 나서야 될 사회 초년들의 방황은 늘 가슴 아픈 것이고, 이제는 커다란 사회문제로 쌓여지고 있다. 이들은 창공을 향해서 날아올라야 될 인재들인데도 이들을 이륙시킬 ‘활주로’가 너무 짧아서 추락하거나, 넘어지는 일이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 어쩌다 울타리를 겨우 넘는다 해도 너른 바다를 날아서 건널 수가 없다. ‘자소서’에 자신의 가능성을 꼼꼼히 적어보지만 이런 기록물은 자신의 열등감만을 환기시켜 줄 뿐이다.
그런데, 시인은 왜 이런 절망만을 토로하는 시를 쓰고 있는 것인가. 시인은 지금 이 시대의 젊은이들이 겪는 좌절의 실상을 여실히 투시하고 있다. 시인은 실천을 강변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시인은 절망을, 좌절을 차곡차곡 쌓아 올려 ‘이륙이 허가’될 꿈의 미래가 도래해야 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시는 행동의 방식이 아니라 꿈의 방식이다. 꿈꾸지 않는 미래는 오지 않는다. 꿈이 모이고 모여 실천을 불러오는 것, 이것이 시의 참된 힘이다.
「칼의 방식」의 시인은 난세에도 감동적인 시가 왜 필요한 것인지를 보여주었다. 말의 운용이 견실하고 자재로운 점 이 시인이 지닌 장점이라 생각한다. 수상을 축하드리며 늘 문운 창성하시기를 축원한다.
수상소감 / 이 종 원
봄바람이 여름 햇살과 다투는 주말 내내 여전히 미열과 무기력에 시달렸다. 코로나로 인해 궤도에서 탈선되어 녹슬어버린 허상이 도무지 일상으로 돌아올 기미를 보이지 않음을 핑계 삼아 글밭에서 점점 멀어졌다. 몸보다 앞선 생각은 계속 바람에 떠밀리며 구름과 비와 눈에 갇혔으며 공중에서 헛걸음질 치다 떨어지는 환청에 시달렸다. 맛을 잃어버린 채 이 잿빛 도화지에 어떤 색으로 길을 내야 할지 흩어지는 봄에 시간을 얹어두었을 뿐, 나는 꽃 하나도 나무 하나도 제대로 그리지 못하고 색 또한 제대로 입히지 못해 허둥거렸다. 유리창 밖 갓 피어난 연분홍 철쭉이 꼬리를 흔들었을 때 비로소 걸음이 닿는 곳과 마음이 머물렀던 곳을 추스르기 위해 토악질을 멈추고 게워놓은 어휘의 파편을 씻어 바람에 걸어두었는데 덜컥 당선 기별이 기절 세포를 깨워주었다. 미열이 완전히 걷히지 못한 여백은 더 큰 바람에 흔들리겠지만 오늘 나를 움 틔워준 이 작은 씨앗으로 인해 가끔 햇살로 쏟아지고 싶어 눈을 부릅뜨고 글밭을 배회할 것 같다. 뒤늦게 깨어난 동면의 껍질을 자양분 삼아 부지런히 잡초를 걷어내고 싹을 키우고자 젖 먹던 힘을 쏟으려 한다. 어찌할 수 없는 체념에서 나를 끌어내 주신 시인뉴스 포엠과, 부족한 글을 선 해주신 심사위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아울러 내 시의 토양이 되어준 시마을과, 짧은 시의 다리 때문에 자꾸만 주저앉으려는 나의 등을 끝까지 떠밀어주신 최정신 선생님과 기쁨을 나누고 싶다.